국가장학금 구간별 지원 금액 최신정보
등록금 부담 완화를 위한 대한민국 정부의 대표 정책인 국가장학금은 2025년을 기점으로 한층 더 정교해진 소득구간 체계와 구간별 차등 지원 방식으로 개편되었습니다.
특히 중위소득 300%까지 확장된 9구간 체계와 다자녀 가구에 대한 추가 지원은 학비 걱정 없이 고등교육의 기회를 넓히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국가장학금의 기본 구조부터 2025년 개편사항, 구간별 지원금액까지 정확히 안내해드립니다.
국가장학금 제도 기본 개요
국가장학금은 소득 수준에 따라 등록금 일부 또는 전액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크게 Ⅰ유형(학생직접지원형)과 Ⅱ유형(대학연계지원형)으로 나뉘며, Ⅰ유형이 실질적인 지원의 중심축을 이룹니다.
• 신청 대상: 국내 대학 재학생, 소득 9구간 이하
• 유형 Ⅰ: 소득수준에 연계하여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들에게 더 많은 혜택이 주어지도록 설계
• 유형 Ⅱ: 대학별 등록금 감축 노력과 연계하여 자율 지급
• 2025년 예산 총 5.2조 원, 이 중 68%가 Ⅰ유형에 배정
2025년 주요 개편 사항
2025년부터는 기존 8구간 체계에서 9구간이 신설되었고, 다자녀 가구에 대한 지원이 대폭 강화되었습니다.
이로써 약 50만 명의 수혜자가 추가로 장학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정책 대상의 폭이 대폭 확대된 셈입니다.
• 9구간 신설: 중위소득 300% 이하, 아래 기준표 참고• 다자녀 가구 장학금 혜택 강화: 특히 셋째 자녀부터는 등록금 전액 지원이 가능 • 7~8구간 자녀 지원금: 35% 인상
• 1~3구간 학생: C학점까지 최대 2회 수혜 허용
• 장애학생·자립청소년: 성적 기준 전면 면제
소득구간별 기준표
국가장학금의 소득구간은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산정되며, 이는 근로·사업·재산 소득을 종합 평가한 금액입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 6,097,773원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간이 나뉘게 됩니다.
소득구간 | 기준 중위소득 비율 | 월 소득인정액 (4인 가구 기준) |
1구간 | 30% 이하 | 1,718,974원 이하 |
2구간 | 50% 이하 | 2,864,957원 이하 |
3구간 | 70% 이하 | 4,010,939원 이하 |
4구간 | 90% 이하 | 5,156,922원 이하 |
5구간 | 100% 이하 | 5,729,913원 이하 |
6구간 | 130% 이하 | 7,448,887원 이하 |
7구간 | 150% 이하 | 8,594,870원 이하 |
8구간 | 200% 이하 | 11,459,826원 이하 |
9구간 | 300% 이하 | 17,189,739원 이하 |
• 중위소득 기준을 기준으로 각 구간 설정
• 소득인정액 = 실소득 + 재산 환산액 - 부채 등
• 9구간 도입으로 실질적 중산층까지 지원 가능
구간별 지급액 상세 정보
2025년 국가장학금은 소득구간별로 차등 지급됩니다.
Ⅰ유형과 다자녀 가구 대상 장학금 모두 각 구간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며,
등록금 전액을 초과하여 지급되지는 않습니다.
Ⅰ유형 국가장학금 (학기별 기준)
소득구간 | 학기별 최대 지원금액 | 연간 최대 지원금액 |
기초·차상위 | 등록금 전액 | 등록금 전액 |
1~3구간 | 285만 원 | 570만 원 |
4~6구간 | 210만 원 | 420만 원 |
7~8구간 | 175만 원 | 350만 원 |
9구간 | 50만 원 | 100만 원 |
• 기초·차상위 및 1~3구간은 상대적으로 고액 지원
• 7구간 이상부터는 점차 감소 구조
• 등록금 초과 시 차액 반환 처리
다자녀 가구 장학금 (학기별 최대 지원금액)
셋째 이상 자녀는 소득 구간과 관계없이 등록금 전액을 지원받습니다.
첫째와 둘째 자녀는 구간별 차등 지원되며, 7~8구간은 35% 인상된 금액이 적용됩니다.
소득구간 | 첫째·둘째 (연간) | 셋째 이상 (연간) |
기초~3구간 | 570만 원 | 등록금 전액 |
4~6구간 | 480만 원 | 등록금 전액 |
7~8구간 | 450만 원 | 등록금 전액 |
9구간 | 135만 원 | 200만 원 |
• 셋째 이상은 대학 등록금 상한선(약 1,200만 원)까지 실비 보전
• 첫째·둘째도 소득 9구간까지 대상 확대
• 출산 장려정책과 연계된 실질적 혜택 강화
신청 방법 및 기간
2025학년도 1학기 국가장학금은 1차와 2차로 나뉘어 접수되며, 일반 재학생은 반드시 1차 신청을 해야만 연속 수혜 자격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2차 신청은 신입생·편입생·복학생 등에게만 제한적으로 허용됩니다.
신청은 한국장학재단 공식 홈페이지(www.kosaf.go.kr)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가능하며,
가구원의 소득정보 제공 동의와 필수 서류 제출이 동시 완료되어야 최종 접수가 인정됩니다.
• 2025년 2차 신청: 2월 4일(화) 09:00 ~ 3월 18일(화) 18:00
• 가구원 정보 제공 및 서류 제출 마감: 3월 25일(화) 18:00까지
• 신청 경로: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
• 상담 문의: 한국장학재단 고객센터 ☎ 1599-2000
유의사항
국가장학금은 등록금 범위 내에서만 지급되며, 초과되는 금액은 반환 대상입니다.
단, 등록금 전액 지원 대상자의 경우에는 입학금과 수업료, 학생회비 등까지도 포함되어 전액 지원이 가능합니다.
또한 재학생이 1차 신청을 하지 않을 경우, 다음 학기에는 재학 중 단 2회까지만 예외 수혜가 인정됩니다.
아울러 국가장학금 지원 이력이 다른 교내외 장학금(선한인재·근로·해외수학 등)의 심사 자료로 활용되는 만큼,
가급적 모든 학생이 신청해 두는 것이 유리합니다.
• 등록금 초과분은 반환 대상, 정산 시 환불됨
• 전액 지원자는 입학금·수업료 포함 전액 감면
• 재학생 1차 신청 원칙, 2회까지만 예외 인정
• 교내외 장학금 선발 시 필수 기준 자료로 활용됨
마무리
등록금은 매 학기마다 학생과 학부모에게 큰 부담이 되는 요소입니다.
하지만 국가장학금 제도를 잘 활용하면 실제 등록금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다자녀 가구나 저소득층 학생에게는 사실상 전액 지원도 가능한 제도입니다.
특히 이번 2025년 개편을 통해 소득 9구간까지도 지원받을 수 있게 되었고,
셋째 자녀부터는 소득에 관계없이 등록금 전액을 지원받는 등
누구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폭이 훨씬 넓어졌습니다.
중요한 건 기한 내에 신청을 꼭 완료하는 것, 그리고
본인의 상황에 맞게 소득구간과 조건을 정확히 확인하는 일입니다.
'생활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거급여 수급자 혜택 총정리 (0) | 2025.04.19 |
---|---|
보건증 발급기간, 발급방법 필수 확인사항 (1) | 2025.04.13 |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 및 세액공제 가이드 (1) | 2025.04.08 |
카카오톡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방법 및 톡학생증 설정 (1) | 2025.04.05 |
식물보호산업기사 응시자격 시험일정, 노후대비 재취업 자격증 (1) | 2025.04.04 |
댓글